IT 기술 블로그들의 최신 포스트를 한곳에서 보는 사이트
람다식이란? 메서드를 하나의 식(expression)으로 표현한 것이다. 메서드를 람다식으로 표현하면 메서드의 이름과 반환값이 없어지므로, 람다식을 익명함수라고도 한다. 람다식 도입으로 인해 자바는 객체지향언어인 동시에 함수형 언어가 되었다. 1 2 int[] arr = new int[5]; Arrays.setAll(arr, (i) -> (...
내부 클래스란? 내부 클래스는 클래스 내에 선언된 클래스이다. 클래스에 다른 클래스를 선언하는 이유는 두 클래스가 서로 긴밀한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1 2 3 4 5 6 7 class A { // 외부 클래스 // ... class B { // 내부 클래스 // ... } // ... } 내부클래스의 장점 내부 클래스에서 외...
인터페이스란? 인터페이스는 일종의 추상클래스이지만 일반메서드 또는 맴버변수를 가질 수 없고, 오직 추상메서드와 상수만을 맴버로 가질 수 있으며, 그 외의 다른 어떠한 요소도 허용하지 않는다. 추상클래스를 미완성 설계도라고 한다면, 인터페이스는 구현된 것은 아무 것도 없고 밑그림만 그려져있는 기본 설계도라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의 작성 클래스를...
점프 투 스프링부트
자바의 특징
A new version of content is available.